저녁의 배움
바쁜 일과가 마무리되는 저녁, 더 풍요로운 미래를 위해 금융 지식도 충전해야죠.
제목 | 어떤 치과에 갈까? 증상 별로 다른 '치과 사용 설명서' |
---|---|
다 같은 치과가 아니다. 증상별 전문 진료과가 따로 있고, 치과마다 제시하는 견적도 다르다. 제대로 치과 치료를 받기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를 소개한다. 이런 증상일 때, 이런 진료과 1. 치열을 반듯하게 치과교정과 2. 이갈이, 코골이가 있다면 구강내과 3. 충치치료는 치과보존과 4. 잇몸이 아플 때는 치주과 5. 수술이 필요할 때는 구강악면외과 6. 임플란트? 틀니? 고민된다면 치과보철과
치과 고를 때, 치과의사와 이야기할 때는 이렇게! A치과에서 충치가 2개라고 했는데, B치과에서는 4개라고 해요. 왜 다르죠? 이를테면 일반적으로 충치 부위를 뾰족한 탐침 기구로 찔렀을 때 잘 긁히면서 그 부위로 탐침이 들어가면 충치로 판단하지만, 잘 긁히지 않거나 탐침이 들어가지 않으면 충치로 판단하지 않는다. 여기서 탐침이 ‘긁힌다’ ‘들어간다’에 대한 의사의 판단이 주관적일 수 있다는 것. 만약 충치 여러 개를 치료하는 게 부담스럽다면 의사에게 시급하게 치료해야 할 충치는 몇 개인지, 시간을 좀 더 두고 치료해도 되는 충치가 있는지 꼼꼼하게 묻고 우선순위대로 치료하자.
대학병원 갈까요? 개인병원 갈까요? 전신마취 등이 필요한 외과적 수술을 해야 할 때다. 또 평소 앓고 있는 다른 질병 때문에 다른 진료과와의 협진이 필요한 경우 대학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한 골다공증으로 약물치료 계획이 있거나 고혈압이나 당뇨, 암 등으로 특이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대학병원에서 상담을 받는 게 효과적이다. 왜 보험이 안 되는 재료만 권하나요? “하와이를 간다고 했을 때 비행기가 배보다 싸다고 하면 누가 배를 타겠습니까? 의료도 돈이 되는 쪽으로만 연구개발을 많이 합니다. 대표적으로 자연치아를 살리는 치료는 논문도 많이 올라오지 않고 연구도 적습니다. 하지만 임플란트처럼 시장성이 좋은 분야는 논문도 많고 연구도 활발하죠.” 즉, 질이 좋지만 가격은 다소 부담스러운 재료는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는 의미다.
치과 치료가 잘못된 것 같아요. 보상받을 수 있나요? 이 단계에서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다음에는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로 넘어가는데, 두 기관의 차이는 강제집행 여부이고 민사소송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이 또한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피해 보상이 쉽지 않다. 안타깝지만 환자 스스로 병원과 의사를 잘 고르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선생님 말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 가장 좋은 걸로 치료해달라고 하면 될까요? 이에 대해 강혁권 의사는 선택권을 의사에게 넘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차라리 “원장님 친동생이라면 어떤 치료를 추천하시겠어요?”라든가 “며칠간 시간의 말미를 주면 결정하겠다”고 이야기하는 게 더 낫다고 조언한다.
인터넷의 치과 후기를 믿어도 될까요? 치과 치료는 무엇보다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치료할 의사와의 상담이 필수다. 둘째로, 병원 홈페이지에 치과의사의 사진과 이력이 자세히 나와 있지 않다면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간혹 의사가 상주하지 않고 병원을 여기저기 옮겨다니면서 진료하는 경우가 있는데, 치료 후 사후 관리가 미흡할 확률이 크다. 마지막으로 최단기간 치료를 내세우는 병원도 조심해야 한다. 빠른 치료를 위해 무리하거나 과잉 치료 계획을 잡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시간을 들여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데도 단기간에 끝내는 수술을 권하는 경우다.
기획 서희라 사진 셔터스톡 참고 <치과 사용 설명서>(강혁권, 라온북) |